본문 바로가기
IT 기본지식

[Network] 뒤돌면 까먹는 OSI7 계층

by 내기록 2022. 2. 11.
반응형

 

 

OSI7 Layer Model

 

 

https://ipcisco.com/lesson/tcp-ip-model/

 

최근에 주로 사용되는 TCP/IP 모델은 제일 오른쪽에 있는 Five Layered model이다.

OSI7 계층과의 차이점은 Application, Presentation, Session Layer를 하나의 Application으로 묶은 것이다.

 

* 요약

Layer 특징
Physical Layer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전송
DataLink Layer Mac address를 사용하여 동일 네트워크 내 전송
오류 제어
Network Layer I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라우팅이 이뤄지는 계층
서로 다른 네트워크 통신
Transport Layer Port를 사용해서 목적지 프로세스를 찾아냄
예)TCP/UDP 프로토콜
Session Layer 세션을 맺고 끊는다. 복구
Presentation Layer 데이터 변환/압축/암호화
Application Layer 사용자에게 보이는 유일한 계층, HTTP/FTP 등

 

 

https://hanamon.kr/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1%AC-%EA%B8%B0%EB%B3%B8-%ED%94%84%EB%A1%9C%ED%86%A0%EC%BD%9C%EC%9D%B4%EB%9E%80-osi-7-%EA%B3%84%EC%B8%B5-%EB%B3%84-%ED%94%84%EB%A1%9C%ED%86%A0%EC%BD%9C/

 

 

 

1) Physical Layer

  • Media, Signal and Binary Transmission
  •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전송 :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기신호를 사용하여 비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계층이다.
  •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오로지 전달만 한다. 즉, 정상적인 데이터인지, 에러가 발생할 것인지 신경쓰지 않는다.
  • 0,1로 구분되며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게 주 목적이다.
  • 0과 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선으로 흘려 보내고(encoding),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0과 1의 나열로 해석한다(decoding) 즉,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가 0과 1의 나열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.

 

  • MAC and LLC (Physical addressing)
  • 전송 단위: Frame
  • MAC주소로 통신하며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을 담당한다.
  •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오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.
  • 스위치가 경로들을 결정한다.

 

3) Network Layer

  • Path Determination and IP (Logical Addressing)
  • 전송 단위: Packet
  • 주소 부여(IP), 경로 선택(Route), 패킷 전달
  •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간의 전송을 담당한다.
  • 경로 선택,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목적지IP까지 패킷을 전달한다.
  • 네트워크 라우팅이 이루어지는 계층이다.
  •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도착지 IP까지 최적의 경로를 생성한다.
  • 헤더에 송,수신지 IP를 포함하여 전달한다.

 

4) Transport Layer

  • End-to-End Connections and Reliability
  • 전송 단위: Segment
  • TCP, UDP(보통 TCP 프로토콜 사용)
  • Segmentation(segment라는 단위로 나눔), 흐름 제어(전송량 조절), 오류 제어
  • Port 번호를 사용하여 도착지 노드의 최종 도착지인 프로세스에 데이터가 도달하게 만든다.
  • 전송계층의 양끝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.
  • 데이터 전송, 전송 속도 조절, 오류시 재전송을 수행한다.
  •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데이터를 합산하여 Session Layer로 보내준다.
  • 헤더에 송,수신지 포트번호를 포함하여 전달한다.
  • 데이터 전송 단위: TCP(Segment), UDP(Datagram)
 

[통신] TCP/UDP 가볍게 읽고 기억하기

TCP / UDP ? 전송계층에서 사용하는 프로토콜로써, 목적지 장비까지 전송한 패킷을 상위의 특정 응용 프로토콜에게 전달하는 것에 목적이 있음  * 전송계층이란?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

sunrise-min.tistory.com

 

 

 

5) Session Layer

  • Interhost Communication
  • 세션을 만들고 유지, 종료, 전송 중단시 복구 기능(checkpoint)
  • 네트워크상 양쪽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을 지속시켜주는 계층
  • 세션을 만들고 유지, 종료, 전송 중단시 복구 기능
  • 통신 세션을 구성하여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연결

 

6) Presentation Layer(표현 계층)

  • Data Representation and Enctyption
  • 데이터 변환/압축/암호화 수행
  • Application Layer에서 data를 이해 할 수 있게 응용프로그램에 맞춰 변환
  • JPEG, TIFF, GIF 등 다양한 포맷 구분

 

7) Application Layer

  • Network Process to Application
  • HTTP, FTP, Telnet ...
  •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지원
  • 사용자에게 보이는 유일한 계층
  • ex) 메일 전송, 인터넷 접속 등

 

 

https://velog.io/@wldus9503/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1%ACTCP

 

 

 

 

대표 프로토콜

https://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hn?volumeNo=27612269&memberNo=2521903

 

OSI7 계층을 나눈 이유

 

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신경쓰지 않고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.

예시) PC방에서 게임을 하는데 연결이 끊겼다면 ?

모든 PC 문제 - 라우터(3계층:네트워크) 또는 광랜을 제공하는 회사의 회선 문제(1계층:물리)

한 PC에만 문제가 있고 게임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다면(7계층:어플리케이션)

게임 소프트웨어는 문제가 없고 스위치에 문제가 있다면(2계층:데이터링크)

이렇게 판단이 가능해서 다른 계층을 신경쓰지 않고 문제가 발생한 계층만 수정 할 수 있다.

 

 

 

References

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isHttpsRedirect=true&blogId=pst8627&logNo=221670903384

https://shlee0882.tistory.com/110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1pfTxp25MA8&t=102s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Fl_PSiIwtEo 

 

반응형

댓글